일본에서 외국인으로 살기 139

넨킹넷에서 각월 연금기록 화면 확인하기 -영주권 준비시 필요!

맨날 하는 게 아니니까 까먹어서 오랜만에 넨킹넷에서 각월 연금기록 화면 확인하고 출력하려고 했더니 하는 법이 기억이 안났다... 우선은 로그인부터 안돼서 문의 남기고 시간도 오래걸렸다 :) 넨킹넷에서 각월 연금기록 화면 ねんきんネットの各月の年金記録 확인하는 방법을 아래에 설명한다! 1. 로그인 하기 로그인 하는 방법은 두가지! 마이넘버카드가 있다면 마이넘버카드로 간단하게 로그인 한다. 단, 카드를 읽어야 해서 노트북으로는 안되는 것 같다 스마트폰으로는 간단하게 가능~~~ https://www3.idpass-net.nenkin.go.jp/neko/Z06/W_Z0602SCR.do ねんきんネットの利用を始める(ご利用登録) ねんきんネットの利用を始める(ご利用登録) ブラウザの戻るボタンや更新ボタン等は使用できませんので、..

파워 J의 일본 출산 준비 - 출산 관련 할일 리스트 만들기

파워 J라서 미리 계획하지 않으면 불안한 성격이라 틈틈이 시간이 나면 출산 관련해서 할일을 블로그에 정리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할일이 생각보다 많아서 깜빡하겠다 싶은 마음에 시간 순서별로 내가 해야 될 일을 정리하게 됐다. 일단은 출산 관련 할일은 지난번에도 블로그에 정리해둬서 크게 구약소, 대사관, 입관에 신고하는 걸로 생각하고 있었는데 생각보다 할일은 더더더 많았다. 큰 카테고리를 보면 구약소에 출생신고 하면서 지원금 포함 각종 신청하기/ 한국의 조리원격인 산후 케어 신청하기/ 보육원 신청하기/ 회사에 수당 신청하기/ 대사관에 출생신고하고 여권신청하기/ 입관에 재류자격 신청하기/ 출산 후 지원금 신청하기 로 나눌 수 있다. 다 하나하나 인터넷 찾아보고 전화해서 문의하느라 시간이 오래 걸렸다 ㅠㅠ 그래..

일본 출산 지원금 수령 방법 - 출산 육아 일시금 出産育児一時金

일본에서 출산을 하면 출산 후 14일 이내에 출산 육아 일시금 出産育児一時金 을 신청 가능하다. 출산 육아 일시금 出産育児一時金 제도 일본에서는 건강보험 (회사에서 드는 보험), 국민건강보험 가입자가 출산하면 출산 육아 일시금이 지급된다. 금액은 50만엔(산과의료보상제도에 가입하지 않은 의료기관 등에서 출산한 경우는 48만8천엔). 지급 조건은 임신 85일을 유지하는 것으로, 즉 유산·사산인 경우에도 지급된다. 신청 시기는 출산하고 나서부터 신청 가능하다! 병원이 작거나 해외 출산의 경우 직접 지불 제도를 활용할 수 없고, 그렇지 않다면 출산 하기 전에 병원에서 직접 지불 제도를 이용할 지 말지에 대한 서류를 작성하게 된다. ※출산일로부터 2년이 지나면 지급되지 않으므로, 잊지 말고 신청해야 한다. 출산..

일본의 한국라면 열풍

일본에 살면서 이태원 클라스때부터 한류가 다른 느낌으로 다가오기는 했는데 최근 일본에서 한국 문화나 한국 음식이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있다. 특히 한국 라면은 편의점이나 슈퍼에서도 신라면, 너구리, 불닭볶음면은 꽤 자주 만나볼 수 있었는데 요즘에는 그걸 넘어서 일본 식품회사에서 한국 라면 스타일의 제품들을 줄줄이 출시하는 모양이다. 이것저것 보일 때 마다 사먹어봤는데 일본 스타일이라 입맛에 안맞을 줄 알았더니 생각보다 괜찮은 제품들도 있었다!!! 닛신에서 출시한 양념치킨 야끼우동과 해물짬뽕 두가지 버전의 컵라면을 구매해봤다. 양념치킨은 맛이 없지는 않았는데 니맛도 내맛도 아닌게 뭔 맛인지 싶었다. 닛신의 돈베이 시리즈 日清のどん兵衛 는 한국풍 라면들 말고도 다양한 버전의 기간한정 제품들이 있다. 이 시리즈..

일본에서 출산 후 출생신고 등 절차 확인하기

한한부부가 일본에서 출산을 하고, 출산 후 출생신고 등 절차가 뭐가 있는지 알아봤다. 1. 출생신고하기 일본 산부인과에서 출산을 하면 병원에서 출생신고 종이 出生届 를 엄마나 가족에게 전달한다. 출생신고 종이는 오른쪽 부분에 병원이 정보를 기재해 주기 때문에, 왼쪽 부분에 내용을 기입해야 한다. ●출생신고를 하면 외국 국적의 경우 주민표에 기재가 된다. (일본 국적이면 호적에도 올라간다고 한다) 출생신고 종이 내는 곳 구약소 제출하는 사람 엄마 혹은 아빠 제출 기간 출산 후 14일 이내 (혹시 14일째 날짜가 휴일인 경우에는 그 다음날도 괜찮다) 제출할 서류 1. 병원에서 받은 출생신고서 出生届 2. 모자건강수첩 (모자건강수첩에다가 출생신고서 제출 증명 出生届出済証明 을 한다) 3. 국민건강보험증 (가입..

일본 취업 비자 보유하고 이직했을 때 - 출입국체류관리국에 신고하기

나는 일본에서 취업과 이직을 반복했는데 최근 5년짜리 취업비자가 갱신일이 다가와서 알아보다가 취업 비자를 가지고 있으면 이직시에 출입국체류관리국에 신고해야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여태까지 이직 할 때 한번도 이직 신고 한 적 없는데 어쩌냐고 물으니 일단은 빨리 신고부터 하라는 답변을 받아서 빠르게 이직 신고 절차를 알아봤다.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출입국체류관리국에 이직 후 14일 이내에 신고를 하지 않으면 20만엔 이하의 벌금이 부여된다는 글들이 많았다. 심장이 두근두근... 몰라서 안했는데... 이럴수가ㅠㅠ 급한 마음에 얼른 이직 신고를 해버렸다!!! https://www.moj.go.jp/isa/applications/procedures/index.html 다행히도 출입국 체류 관리국에 직접 가지 않아도..

일본 재류카드 갱신 시기, 비용, 온라인 신청, 필요한 서류

출입국 재류 관리청 홈페이지 참고 https://www.moj.go.jp/isa/applications/procedures/16-3.html 일본 재류카드 갱신 시기 유효기간 만료일로부터 3개월 전 부터 갱신이 가능하다. 재류카드를 갱신하지 않고 만료가 되어 버리면 불법 체류 형태가 되어 버리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재류카드의 심사가 약 2주일에서 한달 정도 소요된다. 본인이 직접 자신이 거주하는 곳을 관리하는 출입국 관리소에 가서 신청해야 한다. 일본 재류카드 갱신 비용 일본에서 재류카드를 갱신할 때는 수입인지 4,000엔의 비용이 발생한다. 일본 재류카드 갱신 온라인 신청 2022년 3월부터 마이넘버카드가 있으면, 재류카드의 재류 기간 갱신, 재류 자격 갱신의 절차를 온라인으로도 가능하게 됐다고 한..

일본 출산시 의료비 공제에 대하여

후루사토 노제 (일본 고향납세) 에 대해 알아볼 때 의료비 공제를 하는 사람은 원스톱 공제를 할 수 없다는 걸 본 적이 있어서 알고는 있었는데 어떤 내용이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았다. 우선, 의료비 공제를 받아도 고향 납세를 할 수 있다! 다만 후루사토 노제 (일본 고향납세) 를 받을 수 있는, 즉 기부를 할 수 있는 금액이 줄어든다고 한다. https://www.furusato-tax.jp/about/simulation?utm_source=vc&utm_medium=affiliate&_xuid=xuid1x8a078bbf44x36a&admane_xuid=1041,0,2112,xuid1x8a078bbf44x36a ふるさと納税の限度額を計算。控除上限額シミュレーション|ふるさとチョイス いくらまでふるさと納税の寄付ができ..

일본에서 한국으로 - 국제 소포 선편 소요 기간(23년 7월)

한국으로 소포 보낼 일이 있었는데 EMS를 보내려고 하니 생각보다 너무 비쌌다. 원래 비싼 건 알고 있었지만 두개를 보내야 했는데 엄청 무겁지 않도 않은 한 상자가 3키로 였는데도 EMS로 보내면 약 9200엔... 십만원정도가 배송료라니... 보내는 건 파스나 과자 같은 건데 배송료가 너무 비쌌다. 그래서 조금 느려도 국제 소포로 보내기로 결정!!! 우체국 국제 소포도 비행편과 배편 두가지로 나뉘어져 있다. 국제 소포 항공편은 3kg이 3,450엔이다. 2개 보내면 6900엔. EMS로 보내는 것보다 훨씬 저렴하다. 국제소포 배편은 3kg이 2600엔이다. 2개를 보내면 5200엔. 처음에는 그래도 항공편이 더 빠르니까 국제소포 항공편으로 보내려고 했는데 2개를 보내다보니 차액이 1700엔... 적지 ..

일본 주수별 기형아 검사 / 쿼드 검사 クアトロ検査

일본에서 임신과 출산을 경험한 사람들이 입을 모아 말하는 한국과 일본 산부인과의 차이 중 하나가 기형아 검사다. 한국은 주수에 맞게 기형아 검사를 진행하고 일본은 기본적으로 문제가 없으면 의사 선생님이 아무 말도 안하고 넘어가고 주수별로 기형아 검사를 진행하지도 않는다. 한국에 사는 사람들은 한국 스타일이 익숙하니까 이해가 안갈 수 있는 부분이지만 일본에서는 이게 당연한거니 일본에서 임신하고 출산하려면 일본 스타일을 따르거나 혹은 한국에 가서 검사를 받거나 하는 등 선택을 해야 한다. 주수별 기형아 검사 임신 11~12주 : 1차 기형아 검사/ 목 투명대 검사 목 투명대를 검사해서 보통 3mm 이상이면 다운 증후군을 의심하여 양수검사를 진행하게 된다. 임신 ~18주 : 2차 기형아 검사/ 니프티 검사 쿼..

반응형